javascript(10)
-
타입 캐스팅(타입 변환)
✔️타입 변환 타입 변환에 두 가지 종류가 있음 명시적 타입 변환과 암묵적 타입 변환 📌명시적 타입 변환 명시적 타입 변환은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하는 경우 let x = 100; String xStr = x.toString(); 명시적으로 타입을 변환하는 경우는 보통 두 가지가 있다. 표준 빌트인 생성자 함수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 빌트인 메서드를 사용하는 경우 👉문자열 타입으로 변환 String 생성자 함수를 new 연산자 없이 호출 Object.prototype.toString 메서드를 사용 String(1); String(NaN); String(Infinity); (1).toString(); (NaN).toString(); (Infinity).toString(); 👉숫자 타입으로..
2023.05.16 -
서버로서의 노드
노드는 서버가 아니지만, 내가 서버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JS 코드를 작성하면, 노드가 얘를 실행해주고 내 컴퓨터가 서버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해줌. ✔️노드 서버의 장단점 📌노드 서버의 장점과 단점 👉장점과 단점 번갈아서 멀티 스레드 방식에 비해 컴퓨터 자원을 적게 사용(장점) 싱글 스레드라서 CPU 코어를 하나만 사용함(단점) 컴퓨터 자원을 많이 써서, 일을 많이 할 수 있으면 좋은데 하나만 쓰는거임 I/O 작업이 많은 서버로 적합(장점) Input, Output -> 요청 받고 응답 주고, 파일 읽고, 읽은 거 전달해주고, 이런 왔다갔다 하는 건 잘함 CPU 작업이 많은 서버로는 부적합(단점) 뭔가 서버에서 연산을 굉장히 많이 해야하는 서버로는 부적합함.(이미지 리사이징, 암호화, 혹은 알고리즘 ..
2023.05.13 -
노드의 특성
공부하는 걸 간단하게 정리하는 글입니다. 제가 나중에 복습하려고 정리하는거라.. 쓰기 편하게 편한 말투를 사용하려고 합니다. 틀린 부분, 오타 피드백 부탁드립니다. 빠르게 반영하겠습니다. ✔️ 내부 구조 모든 언어들 대부분이 내부는 C나 C++로 작성되어 있다. 왜? 이게 빠르니까~ 노드는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V8엔진을 포함하고 있고 또 libuv도 포함하고 있음 V8엔진의 70%정도가 C++로 작성되었다고 하며, libuv는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얘는 100% C++로 작성되어있다고 한다. 그리고 libuv는 중요한 아이인데 얘 덕분에 Node.js가 OS에 접근해서 파일시스템, 네트워킹 등을 할 수 있게 되는거고 플랫폼에 독립적이 될 수 있는 결정적 역할을 했으며 Node.js가 이벤트 기반, No..
2023.05.12 -
노드의 정의
제가 나중에 복습하려고 정리하는거라... 편한 말투로 쓰겠습니다... 틀린 부분, 오타 피드백 주시면 빠르게 반영하게습니다. 감사합니다. ✔️공식 홈페이지 설명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이다. 런타임은 실행기 ❓그럼 그냥 JavaScript랑 뭐가 다른데 원래 JavaScript는 탄생이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언어임. 그런데 JavaScript를 너무나도 사랑한 Ryan Dahl님이 브라우저 밖에서도 JavaScript를 실행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만든게 Node.js다. 그래서 우리가 JavaScript 코드를 브라우저에서 실행시킨 것과 마찬가지로 Node.js를 설치하면 node 어쩌고저쩌고.js 이렇게 실행시킬 수 있음...
2023.05.12